티스토리 뷰
목차
최근 A형 독감의 유행으로 인해 관련 제약·바이오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. 아래는 A형 독감과 관련된 주요 기업들과 그 특징을 정리한 내용합니다.
1. GC녹십자 [Green Cross]
주요 제품: 계절 독감 백신 '지씨플루(GCFlu)'를 생산하며, 국내 독감 백신 시장의 선두주자입니다.
특징: 전남 화순에 독감 백신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, 2011년 세계보건기구(WHO)의 PQ 승인을 받았습니다
GC녹십자의 주요 사업 분야
1. 백신 사업
GC녹십자는 독감 백신을 비롯한 다양한 백신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며 국내 백신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.
- 주요 제품:
- 지씨플루(GCFLU): A형, B형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4가 독감 백신.
- 국내 최초의 4가 독감 백신 개발 및 세계보건기구(WHO) 공급.
-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글로벌 협력 확대.
2. 혈액제제 사업
혈액제제는 GC녹십자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, 혈우병 및 면역 결핍 치료제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.
- 주요 제품:
- 아이비글로불린: 면역 결핍 질환 치료제.
- 알부민: 수술 후 회복을 돕는 혈장 유래 의약품.
- 헌터라제: 희귀질환 헌터증후군 치료제.
3. 희귀질환 치료제
- 혈우병, 헌터증후군 등 희귀질환 치료제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.
- 북미 및 유럽 시장 진출을 확대 중이며,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
4.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의약품
- 비타민, 어린이용 건강기능식품 등 일반의약품과 OTC 제품을 판매.
- 대표 브랜드: 비맥스, 우루사, 라이넥 주사제.
2. SK바이오사이언스
주요 제품: 국내 최초의 세포배양 독감 백신 '스카이셀플루(SKYCellflu)'를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.
특징: 세포배양 기술 기반으로 생산 효율성을 높였으며, WHO와 GAVI 백신 공급 계약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.
1. 백신 사업
SK바이오사이언스는 다양한 백신 개발 및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, 국내외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.
- 주요 백신 제품:
- 스카이셀플루(SKYCellflu):
- 국내 최초의 세포배양 방식 독감 백신.
- WHO 사전적격성평가(PQ) 인증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.
- 스카이코비원(SKYCovione):
- 국내 첫 코로나19 백신으로, 재조합 단백질 기술 기반.
- 한국 정부 및 COVAX를 통해 공급.
- 스카이바리셀라(SKYVaricella):
- 국내 유일의 수두 백신으로, 안정성과 효과 입증.
- 스카이셀플루(SKYCellflu):
2. 위탁개발생산(CDMO)
-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하여 백신 및 바이오 제품을 위탁 생산.
- 아스트라제네카(AZ), 노바백스(Novavax) 등 글로벌 백신 제조 파트너로 활동.
- COVID-19 백신 대량 생산으로 전 세계에 공급.
3. 차세대 바이오 플랫폼 연구
- mRNA 기술, 세포·유전자 치료제 등 차세대 바이오 플랫폼 개발에 투자.
- 국내 최초로 백신 연구소(Research & Process Development Center)를 설립해 신기술 연구 강화.
3. 한미약품
주요 제품: 독감 치료제 '한미플루'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.
특징: 고혈압 치료제 등 다양한 의약품을 제조하며, 비만치료제와 NASH 치료제 임상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.
최근 이슈 및 전망
1. 비만·당뇨 치료제 성장 기대
-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 확대와 함께, 한미약품의 에페글레나타이드 등의 파이프라인이 주목받고 있음.
- 노보노디스크, 일라이릴리와 경쟁 구도 속에서 국내 시장 우위를 점할 가능성.
2. 주가 전망
- 연구개발 파이프라인 성과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크지만,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긍정적.
- 기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ESG(환경·사회·지배구조) 경영 강화로 투자 매력 상승.
3. ESG 및 지속 가능 경영 강화
- 한미약품은 환경 친화적인 생산시설 운영과 윤리경영을 통한 글로벌 기준 준수를 목표로 함.
- 지속 가능한 의약품 개발 및 사회적 책임 활동 확대.
4. 일양약품
주요 제품: 4가 독감 백신 '테라텍트프리필드 시린지주'를 생산하고 있습니다.
특징: 2023년 겨울 공공분야인 NIP[국가필수접종]에 약 170억 원 규모의 테라텍트 공급에 성공하였으며, 3세 미만 영·유아로의 접종 확대를 위한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.
일양약품의 강점과 약점
강점
- 국내 독자 개발 신약 보유 – 슈펙트(백혈병 치료제) 등 자체 개발 신약으로 경쟁력 확보.
-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– 전문의약품부터 일반의약품, 건강기능식품까지 폭넓은 제품군.
- 국내외 시장 확장 전략 – 중국, 동남아 등 해외 시장 진출 경험 보유.
약점
- R&D 투자 부담 – 신약 개발 비용 증가로 인한 재무적 부담.
- 글로벌 경쟁 심화 – 다국적 제약사들과의 경쟁에서 차별화 필요.
- 제네릭 의약품의 경쟁 심화 – 국내 제약사들의 경쟁으로 인한 가격 압박.
- A형 독감 유행과 백신 수요 증가
- 최근 독감 환자 증가로 백신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매출 상승 기대.
- 정부 예방접종 확대에 따른 공급 계약 증가 예상.
- 만성질환 치료제 시장 확대
- 고령화 사회로 인한 만성질환(당뇨, 고혈압) 시장의 성장에 따른 수혜 기대.
- 글로벌 시장 진출
- 미국 FDA 승인 준비 및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해외 매출 비중 증가 목표.
5. 종근당
주요제품: 독감 치료제 '타미플루'의 제네릭[복제약]을 생산하여 독감 치료제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.
특징: 독감 유행 시기마다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.
종근당은 연 매출의 약 10% 이상을 연구개발(R&D)에 투자하며, 다양한 신약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
- 글로벌 임상 진행 중
- 미국 FDA 및 유럽 EMA 승인 절차를 위한 글로벌 임상 연구 진행.
- 면역질환, 항암제, 대사질환 분야의 혁신 신약 개발.
- 제네릭 및 개량신약 개발
- 오리지널 약물의 특허가 만료되기 전, 개량된 제네릭 신약을 출시하여 시장 점유율 확보.
- 해외 진출 확대
- 동남아, 중동, 남미 시장에서 제네릭 및 건강기능식품 판매 확대 중.
강점
-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– 심혈관, 항암제, 신경과 치료제 등 다수의 주력 제품군 보유.
- 지속적인 R&D 투자 – 바이오 및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강화.
- 해외 시장 진출 확대 –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신흥시장 개척 진행.
약점
- 제네릭 의약품 경쟁 심화 – 국내외 제네릭 시장 경쟁이 치열함.
- 규제 리스크 – 해외 진출을 위한 규제 승인 절차의 복잡성 및 장기화 우려.
- R&D 비용 증가 –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인해 단기 수익성 압박 가능성.
이러한 기업들은 독감 백신 및 치료제의 개발, 생상, 유통에 적극 참여하고 있어 A형 독감 유행 시기에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다만, 투자 시에는 각 기업의 재무 상태, 시장 점유율, 연구 개발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.